-
요즘은 교실에서 선생님과 학생이 만나지만, 조선시대에는 마을마다 '서당'이라 불리는 작은 학교가 있었습니다. 그 중심에는 아이들을 가르치던 '훈장님(訓長)'이 자리하고 있었죠. 훈장님은 단순히 글만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예절과 인성을 함께 전해주던 마을의 어른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서당의 구조와 훈장님의 일상, 교육 방식, 사회적 지위, 문헌 속 사례, 그리고 현대 교육과의 연계까지 서당 훈장님의 삶을 자세히 들여다봅니다.
목차
1. 서당과 훈장님이란?
서당(書堂)은 조선시대에 마을 단위로 운영되던 사설 교육기관입니다. '학교'라기보다는 한문과 유학적 기초 소양을 가르치던 작은 학당이었죠. 이곳에서 글을 가르치던 선생님이 바로 '훈장님(訓長)'입니다. 훈장님은 과거시험에 실패했거나 생원, 진사 등 초급 과거에 합격한 지식인 계층이 맡았습니다. 공식적인 교사 자격이 필요하진 않았지만, 마을에서 신뢰를 얻은 어른만이 아이들을 맡을 수 있었기 때문에 도덕성과 인품도 중요한 자질이었습니다.
2. 훈장님의 하루와 교육 방식
훈장님의 하루는 새벽 종소리와 함께 시작됐습니다. 학생들은 해가 뜨기 전부터 서당에 모여, '천자문'이나 '동몽선습'을 큰 소리로 외우며 하루를 열었습니다. 훈장님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 성독 : 글을 또박또박 소리 내어 읽기
- 강독 : 문장을 끊어가며 해석해 주는 수업
- 필사 : 본문을 손으로 따라 쓰기
- 묵독 : 나중에는 소리 없이 마음으로 읽기
처벌 방식으로는 손바닥을 때리거나 엉덩이 매질도 있었지만, 훈장님의 훈육은 단순 체벌이 아닌 도덕적 교화의 의미가 컸습니다. 일부 훈장님은 집안일을 도우면서도 학생을 돌보았고, 마을 경조사에 참여하거나 마을 어르신 역할도 했습니다.
3. 가르쳤던 과목과 학습 도구
서당에서 가르친 내용은 대부분 유교 경전과 한문 교육이었습니다. 주요 교재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 천자문 : 기본 한자 1,000자를 배우는 입문서
- 동몽선습 : 유교 도리를 담은 어린이 교재
- 명심보감 : 도덕과 교훈을 담은 생활 지침서
- 소학 : 부모 공경, 형제 우애 등 실천 윤리 교육
- 논어, 맹자 : 고급 단계 유학 경전
학습 도구로는 책상, 벼루, 붓, 먹, 화선지, 공책 등이 있었으며, 널빤지에 글자를 쓰고 지우는 흑판도 사용되었습니다. 훈장님은 아이들의 글씨체, 발음, 태도 등을 세심히 관찰하며 각자의 속도에 맞춰 진도를 나가는 방식으로 교육했습니다.
4. 서당 훈장님의 사회적 위상
훈장님은 마을에서 지식을 갖춘 존경받는 어른이었습니다. 비록 벼슬을 하지 못했더라도, 아이들의 인성과 도리를 맡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훈장님의 위상은 다음과 같은 모습으로 드러났습니다.
- 명절에 마을에서 예를 갖춰 인사
- 혼례, 회갑, 제사 등 행사 때 자문 요청
-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중매나 상담까지 맡음
훈장님의 수입은 주로 학생 부모가 제공하는 쌀, 땔감, 채소, 품삯 등으로 이루어졌고, 경우에 따라 훈장님 집에서 직접 수업을 하기도 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훈장님 중 일부가 교육 기부, 가난한 집 아이들 무상교육도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5. 문헌과 그림 속 훈장님의 모습
훈장님과 서당은 <열하일기>, <동국여지승람>, <성호사설> 등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글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훈장이라 하나, 그 지식이 얕고 도덕은 두터워 어린이를 가르치기에 모자람이 없다." - [성호사설] 중
또한 민화나 풍속화 속 서당 장면에서도 훈장님은 흰 수염, 도포 차림, 손에 책을 든 모습으로 자주 묘사됩니다. 학생들은 댕기머리, 짧은 도포 차림으로 등장하며 꾸지람받는 장면도 흔합니다. 이는 훈장님이 엄격하지만 따뜻한 스승으로 마을 공동체 속에서 어떤 존재였는지를 보여줍니다.
6. 현대 교육과 서당의 문화적 유산
오늘날 정규 교육 시스템이 자리 잡았지만, 서당은 여전히 전통 교육, 인성 교육, 한문 교육의 상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 서당 체험 프로그램, 여름 한문캠프, 훈장님 복장 체험 등이 운영되며, 유교적 가치와 전통 예절 교육이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무형문화재 '서당 교육 문화' 지정 추진, 전통 교육자 역할 재조명 등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훈장님은 단지 옛날의 선생님이 아니라, 마을을 이끄는 도덕 교사이자 삶의 본을 보여준 지도자였습니다.
맺음말
- 서당 훈장님은 조선시대 마을 단위 교육을 맡은 선생님으로, 글뿐 아니라 인성까지 가르쳤습니다.
- 천자문, 동몽선습, 소학 등을 통해 유교적 도리를 교육하며 지역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습니다.
- 오늘날에는 전통 교육 체험과 문화유산 콘텐츠로 서당과 훈장님의 가치를 되살리고 있습니다.
'체험삶의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중 음식 장인 - '수라간 상궁'의 하루 (0) 2025.04.28 흰색의 금 - 소금 유통자 '소금장수' (0) 2025.04.27 혼을 담은 장인 - 숨 쉬는 그릇을 빚는 '옹기장' (0) 2025.04.26 마을의 수호자 - 나무에 혼을 입히는 '장승장이' (0) 2025.04.25 비를 부르던 직업 - '기우제 무당'의 실체 (0) 2025.04.23 거리의 상인 - '보부상'의 장사 이야기 (0) 2025.04.22 종묘 제례악을 지킨 음악인 - '악공'의 역할 (0) 2025.04.21 옛날 도자기 장인 - '도공'의 작업 과정 (0)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