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4. 30.

    by. goodppls

    흙과 비, 눈으로 가득했던 조선의 땅을 딛고 살아간 사람들에게 신발은 단순한 보호구가 아닌 삶의 필수품이었습니다. 그중에서도 비나 눈, 진흙길을 버티게 해 준 신발이 바로 ‘나막신’이며, 이를 만든 장인이 나막신장입니다. 나막신은 가볍고 튼튼한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서민부터 승려, 노동자까지 널리 애용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나막신장의 직업적 정의와 제작 방식, 신발로서의 기능, 사회적 역할, 문헌 속 등장, 그리고 현대와의 연결성을 폭넓게 살펴봅니다.

     


     

    목차

     


     

    1. 나막신장이란 누구인가?

    나막신장(木履匠)은 나무로 신발을 만들어 판매하던 전문 수공예 장인을 말합니다. 나무 조각, 굽 제작, 끈 고정 등 신발 제작 전반을 담당하며, 기능성과 착용감을 동시에 고려해야 했습니다. 주로 목수나 목공예 장인이 겸업하거나, 마을에서 나막신만 전문으로 만드는 기술자로 활동했습니다. 그들의 기술은 단순한 목재 가공을 넘어서 걷기 편한 형태, 물기 배출, 발에 맞춘 설계를 포함한 고도의 공예 기술이었습니다. 나막신장은 시장, 절, 관청 근처에 좌판을 펼치거나 농한기에는 집집마다 방문 주문 제작을 하기도 했습니다.

     

     

    2. 나막신의 구조와 기능

    나막신은 발을 보호하면서도 통기성과 방습성을 가진 실용적인 신발이었습니다. 구조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구성 요소로 이뤄졌습니다.

    • 신창 : 발을 받쳐주는 나무 바닥면
    • 굽 : 뒷굽이 높아 물기나 진흙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함
    • 끈고리 : 천이나 가죽 끈이 연결된 구멍
    • 앞코 : 발가락 보호를 위한 살짝 솟은 형태

    비나 눈이 많이 오는 날에는 바닥에 물이 고이기 때문에, 나막신의 높은 굽과 나무 재질은 젖지 않으면서도 빠르게 건조되어 매우 실용적이었습니다. 특히 논밭이나 산길을 자주 다니는 농민, 장터를 오가는 상인, 절집의 승려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생활필수품이었습니다.

     

     

    3. 나막신 제작 과정과 재료

    나막신장은 다양한 나무 중에서 가볍고 튼튼한 재질을 선별하여 사용했습니다. 주로 사용된 나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오동나무 : 가볍고 부드러워 깎기 쉬움
    • 느티나무 : 튼튼하고 내구성이 강함
    • 은행나무 : 통풍이 잘되고 방충 효과 있음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원목 선택 및 건조
    2. 신발 밑창 성형 및 곡선 가공
    3. 발볼 형태 파기
    4. 굽 조정 및 끈고리 구멍 뚫기
    5. 사포질 및 기름칠 (습기 방지)
    6. 천끈 또는 가죽끈 부착

    손으로 하나하나 깎아 만드는 만큼, 주문자의 발 모양과 용도에 따라 맞춤 제작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경우에 따라 바닥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작은 고무 덧댐이나, 승려용 나막신에는 소리 나지 않도록 헝겊을 감싸는 처리도 했습니다.

     

     

    4. 나막신의 사회적 역할과 사용 계층

    나막신은 서민층의 실용 신발이었으며, 도시보다는 농촌과 산간 지역에서 더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계절별로는 장마철, 겨울철에 특히 많이 착용되었고,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여 누구나 접근 가능한 신발이었습니다. 하지만 나막신이 단순히 실용품만은 아니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일부 지역에서 신부의 혼례 선물로 장식 나막신을 제작하거나, 어린이의 첫 돌을 기념하여 작은 나막신을 만들어 보관하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또한 승려들이 정숙한 걸음을 위한 신발로 나막신을 택했으며, 동물 가죽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불교적 가르침과도 부합했습니다. 이처럼 나막신은 생활과 의례, 종교까지 아우르는 전통 신발로 기능했습니다.

     

     

    5. 기록 속 나막신장의 흔적

    <조선시대 생활사 자료집>, <승정원일기> 등 다양한 문헌에서 나막신 혹은 나막신장의 기록이 간접적으로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나막신을 신고 궂은날 임무를 수행하던 관노의 기록, 승려가 고승을 모시고 가는 길에 소리 없는 나막신을 제작 의뢰한 기록 등이 있습니다. 실제 유물로는 일부 목제 신발이 고분이나 절터에서 출토되었으며, 전라남도,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는 20세기 초까지도 나막신장이 존재했던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들은 시장날마다 좌판을 펼쳐 나막신을 팔거나 수선했으며, 나막신은 전통 혼례, 민속극 등에서도 의상 일부로 등장하며 문화 속에 남아 있습니다.

     

    나무로 만든 조선의 신발 - '나막신장' 이야기

     

    6. 현대에서의 나막신 계승과 재해석

    오늘날 나막신장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일부 전통 목공예 장인과 공연 소품 제작자를 통해 그 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대에는 실생활에서 나막신을 신는 경우는 드물지만, 공연예술, 전통체험, 박물관 전시, 민속축제 등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나막신을 현대 감각의 인테리어 소품, 화분 받침, 장식 신발로 재해석하거나, 어린이 전통교육용 체험 키트로 활용하는 시도도 늘고 있습니다. 나막신장은 단순한 신발 제작자가 아닌, 한국인의 발걸음을 지탱한 장인으로서, 전통 속 기능성과 정서를 담은 존재였습니다.

     


     

    맺음말

    1. 나막신장은 나무로 만든 신발인 나막신을 제작한 전통 장인으로, 비와 진흙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생활필수품을 만들었습니다.
    2. 나막신은 서민, 승려,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이 사용했으며, 실용성과 문화적 의미를 모두 지닌 전통 신발입니다.
    3. 오늘날에는 민속극, 공연 소품, 체험 교육 등을 통해 재해석되며, 목공예 전통 속에 명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